본문 바로가기
독서후기

적립식 주식투자

by 쥬블로그 2023. 2. 7.
반응형

주식비법서

주식을 매달 얼마씩 살까요?

저는 여러분과 같이 매달 적립식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방송에서 종목을 보여드리면서 매수하는 순간까지 모두 오픈해서 하고 있는데, 이걸 보여드리는 이유는 같은 종목을 사라는 개념이 아닙니다.

 

어떤 분들은 그 종목을 선취매하고 이렇게 방송하는 것이 아니냐고 말씀하시는데 제가 매수하는 코스피 상위 1위~10위 종목들은 제가 "가자~" 한다고 가는 종목이 아닙니다.

그만큼 시가총액이 어마어마하고, 아무리 많은 개미들이 몰려들어도 공매도 한방이면 떨어지는 종목들입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이렇게 하는 이유는 여러분께 적립식 투자를 알려드리고 혼자하기 힘드니 같이 하려는 이유입니다.

 

저는 매달 1천만 원씩 주식을 모아 가지만, 각자 상황이 다르므로 상황에 맞게 모아가시면 됩니다.

적립식 투자를 시작한지 4개월이 흘렀고, 그동안 미국의 급격한 금리 인상인 3번 연속 자이언트스텝으로 인해 주식시장이 박살났습니다.

그래서 많은 주식투자자들이 엄청난 손해를 보고 있는 상황이구요.

 

저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매달 적립식으로 투자했더니, 매달 낮아지는 가격으로 주식을 구입할 수 있었고, 그 결과 지금은 -4%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코스피가 2500포인트에서 2200포인트로 떨어졌으니, 대락 -12%가 넘게 하락한 것입니다.

그러면 우리가 가진 주식도 -12%가 하락해야 정상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적립식으로 투자했더니, 코스피의 하락률의 반도 하락하지 않았습니다.

하락장에서 손해를 절반으로 줄였다는 뜻입니다.

 

물론 이 말은 상승장에서도 수익이 절반으로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을 뜻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벌 때 조금 벌더라도 잃을 때 조금 잃는 투자가 좋습니다.

버는 것은 추가 수입이지만, 잃게 되면 복구에 10년이 걸릴지, 20년이 걸릴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하락할 때 안전성을 보장받고, 상승할 때 수익을 반만 보장받는 방법이 좋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가끔 투자하시는 분들 중에는 TQQQ 이런 것을 하시는 분들이 계신 걸로 압니다.

앞에 영어 T는 트리플의 약자로 3배의 움직임을 뜻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지수는 100원이 올랐지만, 나는 300원을 버는 것이고, 100원이 하락하면, 나는 300원을 손해보는 것입니다.

이것은 주식이 아니고 도박입니다.

 

여러분이 꾸준하게 안전하게 주식을 매달 적립해 나가는 방법이 위험으로부터 지킬 수 있는 방법입니다.

주식을 과연 매달 얼마씩 사는 것이 좋은가에 대한 궁금증이 있을 것입니다.

사람마다 상황이 다르기에 금액보다는 여러분이 저축하시는 금액의 70%는 주식을 적립식으로 매달 사서 모아가는 것이 좋고, 나머지 30%는 저축을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예를 들어,

100만원씩 저축을 하고 모으는 사람의 경우

주식적립 : 70만원

저축적금 : 30만원

으로 구성하시면 좋습니다.

 

다만, 연령에 따라 약간의 변동성을 조금 가미해 주면 좋은데, 나이가 어릴수록 공격적인 투자 비중인 주식의 비중을 늘리고, 나이가 있을수록 안정적으로 이끌어가야 하므로 적금의 비중을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

 

100만원씩 저축할 수 있는 여력의 사람이 100만원 전부 주식을 사는 것은 그렇게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살다보면 분명히 돈이 필요한 순간이 생기고, 그럴 때마다 돈을 빼서 주식의 흐름을 깨면 그것이 습관이 되고, 결국 단기매매를 하는 것과 같은 현상이 발생합니다.

 

한 번 넣은 주식적금은 목표 금액이나 기간이 도달하기 전까지 팔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어야 성공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