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간만사새옹지마1 새옹지마 고사성어 유래 塞翁之馬 변방 새, 늙은이 옹, 어조사 지, 말 마 인생의 길, 흉, 화, 복이란 하상 바뀌어 예측할 수 없다. 어느 것이 참다운 복이 되고 화가 되는지 알 수 없는 세상일을 가리켜 塞翁之馬라고 합니다. 塞翁은 북쪽 변방에 사는 늙은이라는 뜻입니다. 회남자(淮南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유명한 이야기의 줄거리입니다. 북방 국경 가까이에 점을 잘 치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 하루는 말이 아무 까닭도 없이 도망쳐 오랑캐들이 사는 국경 너머로 들어가 버렸다. 마을 사람들이 찾아와 동정하며 위로를 하자, 이 집의 주인 늙은이는, "이것이 어떤 복이 될 줄 알겠소." 라고 말하며 조금도 걱정하는 기색이 없었다. 그럭저럭 몇 달이 지나고, 하루는 도망쳤던 말이 오랑캐의 좋은 말 한 마리를 데리고 돌아왔다. 마을.. 2023. 6.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