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임없이 善(선)을 행하라는 가르침
子曰 (자왈)
爲善者는 天報之以福하고 (위선자는 천보지이복하고)
爲不善者는 天報之以禍니라 (위불선자는 천보지이화니라)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착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복으로써 보답하고,
착하지 못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화로써 갚느니라."
因果應報(인과응보) “뿌린 대로 거둔다.”,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난다.”는 말처럼 모든 일은 자신이 행한 업보에 따라 결과가 나타나는 법입니다.
孔子(공자) : B. C 552~479.
春秋時代(춘추시대) 말 魯(노)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丘(구), 字(자)는 仲尼(중니)입니다.
孔子는 仁을 근본으로 하는 윤리도덕을 설명하여 사람들의 길을 밝힘으로써 석가, 예수, 공자를 세계 3대 聖人(성인)으로 손꼽습니다.
孔子는 도탄 속에 신음하는 백성들을 구하고 사회질서를 바로잡으며, 이상적인 통일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천하의 여러 제후들을 순방하고, 王道政治(왕도정치)를 이야기하였으나, 이에 호응하는 자가 없었기 때문에 뜻을 이루지 못하고 다시 노나라로 돌아와서 후진들을 교육하며, 詩經(시경), 書經(서경), 周易(주역)의 편찬과, 春秋(춘추)의 저술 등에 몰두했습니다.
孔子의 제자는 3천명이라고 하며, 그 중에 뛰어난 제자가 72명이었다고 합니다.
공자는 堯舜(요순)을 이상적인 군주로 찬양하고, 禹(우), 湯(탕), 文王(문왕)과 武王(무왕)등 三王(삼왕)을 추대함으로써 공자 이전의 중국을 체계화하였으며, 공자의 사상은 이후 2천 몇 백 년 동안 중국을 비롯한 동양의 여러 나라에게 정치와 교육의 중심을 이룹니다.
우리나라에는 조선시대가 유교의 극성시기로, 유교에 배치되는 사상을 논하는 자에게는 斯文亂賊(사문난적)이라는 극악한 죄명이 적용되기도 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