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초등도서4

명심보감 계선편 明心寶鑑 繼善篇 4 끊임없이 선을 행하라는 가르침 太公曰 (태공왈) 見善於渴하고 聞惡如聾하라 (견선어갈하고 문악여롱하라) 又曰 (우왈) 善事란 須貪하고 惡事란 莫樂하라 (선사란 수탐하고 악사란 막락하라) 태공이 말씀하시기를 “착한 것을 보면 목마른 사람이 물을 찾듯이 하고, 악한 것을 들으면 귀머거리인 것처럼 하라.” 하셨습니다. 또 말씀하시기를 “착한 일은 모름지기 탐내고, 악한 일은 즐겨하지 말아라.” 하셨습니다. 선을 행하는 것은 바람의 빠름과 같이 하라. 즉, 선을 실천하는 의지를 강조하는 교훈입니다. 太公(태공) : 본명 呂尙(여상)이며, 呂望(여망)이라고도 불리며, 중국 周(주)나라 초기의 정치가. 渭水(위수)가에서 낚시질을 하다가 文王(문왕)에게 등용되었으며, 문왕이 죽은 뒤 그의 아들 무왕을 도와 慇(은)의 .. 2019. 7. 16.
명심보감 계선편 明心寶鑑 繼善篇 3 끊임없이 善(선)을 행하라는 가르침 莊子曰 (장자왈) 一日不念善이면 (일일불념선이면) 諸惡이 皆自起니라 (제악이 개자기니라) 장자가 말씀 하셨습니다. “하루라도 착한 일을 생각하지 않으면 모든 악한 것이 다 자연히 일어난다.” 고 하셨습니다. 사람은 항상 착한 마음을 가져야만 악이 침범하지 않습니다. 莊子(장자) : B. C 365~290. 중국 春秋時代(춘추시대) 宋(송)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周(주). 莊子(장자)의 주장이 老子(노자) 사상에 기초를 두었으므로, 노자와 함께 老莊(노장)이라 불리는데, 인위적인 세계관을 부정하고 無爲自然(무위자연)의 세계관을 주장하였습니다. 저서로는 南華經(남화경)이 있습니다. 장자의 아내가 죽었을 때 동이를 두드리며 노래했으니, 아내의 죽음을 슬퍼하는 것을 叩盆之痛(고.. 2019. 7. 15.
명심보감 계선편 明心寶鑑 繼善篇 2 끊임없이 善(선)을 행하라는 가르침 漢昭烈이 將終에 勅後主 曰 (한소열이 장종에 칙후주 왈) 勿以善小而不爲하고 (물이선소이불위하고) 勿以惡小而爲之하라 (물이악소이위지하라) 한나라 소열황제가 죽을 때 아들 후주에게 말씀하시기를, “선이 작다고 해서 아니 하지는 말려, 악이 작다고 해서 하려 하지는 말라.” 고 하였습니다. 속담에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라고 해서 작은 惡行(악행)이라도 쌓이는 것을 경계 하였습니다. 昭烈(소열) : 성은 劉(유), 이름은 備(비). 어진 신하 諸葛亮(제갈량)의 보필을 받아서 魏(위)나라, 吳(오)나라와 함께 三國(삼국)을 형성하였습니다. 吳(오)와의 전쟁에서 병사하였습니다. 後主(후주) : 昭烈皇帝(소열황제)의 아들로 이름은 禪(선). 어리석은 왕으로 諸葛亮(제갈량)이.. 2019. 7. 14.
명심보감 계선편 明心寶鑑 繼善篇 1 끊임없이 善(선)을 행하라는 가르침 子曰 (자왈) 爲善者는 天報之以福하고 (위선자는 천보지이복하고) 爲不善者는 天報之以禍니라 (위불선자는 천보지이화니라)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착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복으로써 보답하고, 착하지 못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화로써 갚느니라." 因果應報(인과응보) “뿌린 대로 거둔다.”,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난다.”는 말처럼 모든 일은 자신이 행한 업보에 따라 결과가 나타나는 법입니다. 孔子(공자) : B. C 552~479. 春秋時代(춘추시대) 말 魯(노)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丘(구), 字(자)는 仲尼(중니)입니다. 孔子는 仁을 근본으로 하는 윤리도덕을 설명하여 사람들의 길을 밝힘으로써 석가, 예수, 공자를 세계 3대 聖人(성인)으로 손.. 2019. 7. 14.
반응형